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trie
-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
- 호텔 방 배정
- Python
- Open API
- 불량 사용자
- 징검다리 건너기
- Tistory
- CleanCode
- Spring Boot
- 트라이
- 카카오 인턴
- 알고리즘
- 보행자 천국
- 티스토리 open api
- 트라이 #trie #알고리즘
- 가사 검색
- 프로그래머스
- jdbc
- 티스토리
- pycon
- bulk update
- 튜플
Archives
- Today
- Total
택시짱의 개발 노트
L4 로드밸런서와 L7 로드밸런서의 차이 본문
부하 분산에는 L4 로드밸런서와 L7 로드밸런서가 가장 많이 활용된다. 그 이유는 L4 로드밸런서부터 포트(Port)정보를 바탕으로 로드를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. 한 대의 서버에 각기 다른 포트 번호를 부여하여 다수의 서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우라면 최소 L4 로드밸런서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.
L4 로드밸런서 | L7 로드밸런서 | |
네트워크 계층 | Layer 4 전송계층(Transport layer) |
Layer 7 응용계층(Application layer) |
특징 | > TCP/ UDP 포트 정보를 바탕으로 함 | > TCP/ UDP 정보는 물론 HTTP의 URI, FTP의 파일명, 쿠키 정보등을 바탕으로 함 |
장점 | > 데이터 안을 들여다보지 않고 패킷 레벨에서만 로드를 분산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효율이 높음 > 데이터의 내용을 복호화할 필요가 없기에 안전함 > L7 로드밸런서보다 가격이 저렴함 |
> 상위 계층에서 로드를 분산하기 때문에 훨씬 더 섬세한 라우팅이 가능함 > 캐싱 기능을 제공함 >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사전에 필터링할 수 있어 서비스 안정성이 높음 |
단점 | > 패킷의 내용을 살펴볼 수 없기 때문에 섬세한 라우팅이 불가능함 > 사용자의 IP가 수시로 바뀌는 경우라면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움 |
> 패킷의 내용을 복호화해야 하기에 더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함 > 클라이런트가 로드밸런서와 인증서를 공유해야하기 때문에 공격자가 로드밸런서를 통해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에 접근할 보안 상의 위험성이 존재함 |
출처 : post.naver.com/viewer/postView.nhn?volumeNo=27046347&memberNo=2521903
반응형
Comments